프로젝트 2

[TPT] 적의 시야 설정

적이 플레이어를 감지하는 방법을 정하는 것만으로도 여러가지를 생각해볼수있다. 1. 적의 시야를 기준으로 저해상도의 렌더타겟을 찍기.-> 1-1. 그 뷰를 샘플링하여 일정량 이상 플레이어일때 탐지되도록 하기 -> 1-2. 깊이버퍼를 적용하여, 화면상에서 플레이어가 차지하는 비율이 같아도, 가까이 있다면 가중치가 더 적용되는 형식. 2. 적의 원뿔형태의 시야에서 최대한 골고루 퍼져있는 레이를 정해진 개수만큼 쏴서 탐지하기. (일부만 보이더라도 감지할수도, 아닐수도 있음. 3. 플레이어의 몸의 일정부분에 탐지가능한 메쉬를 설정해두고, 그것이 레이로 감지될때 탐지된것으로 하기. 보이는것도 가중치를 우리가 설정할수있다. 예를들어 머리의 메쉬는 가중치가 10, 손은 1 이렇게.이제 이걸 좀 더 세부적으로 파악해보..

프로젝트 2025.04.15

[TPT] 기획 요구 분석

적 AI분석적의 상태 단계 (5페이지) (아군에게 적용된 적의 상태는 플레이어에게도 동일하게 반영됨 (6페이지))기본상태 : 정해진 자리에 고정되어있다. /or/ 정해진 동선을 움직인다. /or/ 정해진 동선들 중 하나를 따라 움직인다.정해진 동선에 장애물이 생기게 되면 어떻게 처리 할것인가? 의심상태 : 적의 시야 범위가 넓어진다. + 소음 감지 범위가 넓어진다. + 동선이 변경된다.(동선이 변경됨과 자극이 감지된 장소로 이동하는 것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제안 1) WayPoint 기반일시 : 감지정도가 만족했기에 행동이 달라지는 것인데, 플레이어가 있는 곳이 아닌, 사전에 지정된 포인트를 순찰시작하는게 맞는가?적마다 맵의 웨이포인트가 미리 다 정해져있게 하는건가?제안 2) Zone 기반일시 : 수..

프로젝트 202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