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적가변배열, 내부는 해시테이
언리얼 구조체
언리얼 오브젝트가 아니기에 네이밍을 할때 F를 붙인다. 리플렉션을 원하는 멤버변수는 똑같이 UPROPERTY를 붙이면 된다.
구조체 안에서 언리얼 오브젝트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UPROPERTY를 붙여야만 메모리관리가 자동으로 된다.
구조체를 컨테이너로 관리할때엔 필요에 의해서 UPROPERTY를 붙이면 되는 반면에,
언리얼 오브젝트를 컨테이너로 관리할시에는 필수로 UPROPERTY를 붙여야한다.
TMap과 TSet의 내부구조는 거의 같다고 할 수 있다.
'언리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6 - 델리게이트 (0) | 2025.04.21 |
---|---|
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5 - 컴포지션 (0) | 2025.04.21 |
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4 - 인터페이스 (0) | 2025.04.17 |
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3 - 언리얼 오브젝트 (0) | 2025.04.17 |
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2 - 언리얼 코딩표준 (0) | 2025.04.08 |